하모니 팀의 Rest Docs 와 MockMvc 를 활용한 API 문서 자동화

Posted by , August 17, 2024
Spring하모니Rest Docs

💡 현재 포스트는 하모니 팀 기술 블로그 에 게시된 글 입니다.

Rest Docs 도입

alt text

현재 카테부 하모니 팀은 원활한 API 문서 자동화를 위해 Rest Docs 를 도입하였다. Rest Docs 는 자바 진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API 자동화 라이브러리이다. 왜 우리는 Rest Docs 를 도입하였는가?

  • (1) API 문서 작성을 자동화한다 : 당연하게도,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개발자 사이의 협업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API 명세서이다. 개발해놓은 REST API 명세에 대한 문서화가 잘 되어있어야지 연동이 쉬워진다. Rest Docs 와 같은 API 문서화 툴은 이를 손쉽게 가능하도록 한다.

  • (2) 문서화의 실수할 여지를 줄여준다 : 구글 독스, 노션등 사람이 직접 API 명세를 문서화할 수 있지만, 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실수할 큰 여지를 만든다. 한 API 를 명세하는데에 있어서도 요청과 응답사이의 헤더, 바디, 쿠키, URI, 메소드 종류, 상태코드 값, 쿼리 파라미터 등 많은 요소들을 단 한치의 오차없이 사람이 명세하기란 힘들다. API 문서 자동화 툴을 사용한다면 (일반적으로) 실제 API 스팩과 달라지는 것 없이 오차없는 명세를 작성해준다.

  • (3) 자동화를 통한 지속적인 명세 최신화 : 또한 요구사항 변경, 팀내 지속적인 변화로 인해 API 스팩을 변경해야하는 상황이 있다면 어떻게할까? 실제 API 내용이 변경된다면, 기존 API 명세 또한 변경되어야 한다. API 자동화 툴을 사용한다면 API 변경이 일어날 때 마다 명세 또한 빠르게 최신화할 수 있다. 노션, 위키등으로 사람이 직접 수정할 때와 달리, 코드 몇 줄만 바꾸는것이 끝이다. 자동화는 잦은 요구사항 변경, 유지.보수에 있어서 큰 장점을 보인다.

자바 진영에서 제공하는 API 문서 자동화 툴

Rest Docs 를 비롯하여 API 문서 작성을 도와하는 자동화 툴은 많이 개발되어 있다. 자바 진영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툴에는 Swagger 와 Rest Docs 이 2가지가 있다. 우리 하모니 팀은 이 중에 Rest Docs 를 선택하게 되었다. 또한 Rest Docs 의 문서 자동화를 도와주는 보조 테스트 도구로 MockMvc, 문서로는 Asciidoc 을 선택하게 되었다. 우리 팀이 왜 이런 문서화 툴을 선택하게 되었는지 근거를 정리해보겠다.

또한 실제로 Rest Docs 를 활용하여 API 문서 자동화 환경을 구축하는 간단한 환경을 실습해보도록 한다.

Spring Rest Docs vs Swagger

우리 팀은 Rest Docs 를 선택했지만, Swagger 또한 막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서 Swagger 를 사용하면 컨트롤러 메소드 상단에 간단히 어노테이션을 추가하고, API 명세하면 끝이다. 컨트롤러 계층에 간단히 어노테이션을 붙이고 API 명세를 자동화하는 방식은 직관적이고 명세하기 쉽다.

아래 코드는 이번 하모니 팀 프로젝트 진행전에, 다른 프로젝트에서 Swagger 로 명세했던 코드이다.

@ResponseBody
@PostMapping("/makeTeam")
@Operation(summary = "팀 생성", description = "jwt 를 HttpHeader에 넘겨주시고 생성해주세요. 누락된 정보가 있거나 20글자를 초과할 때 에러를 발생시켰습니다.")
public BaseResponse makeTeam(@RequestBody PostTeamReq postTeamReq) {
    try {
        int userIdxByJwt = jwtService.getUserIdx();
        mappingService.makeTeam(userIdxByJwt, postTeamReq);
        return new BaseResponse();
    } catch (BaseException baseException){
        return new BaseResponse(baseException.getStatus());
    }
}

간단히 어노테이션만 "틱" 붙혀서 API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니, 아주 간단하고 편리하다. 하지만 Swagger 는 아래와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Swagger 를 왜 사용하지 않았는가?

  • (1) API 스팩에 변동이 일어나도, Swagger 는 이를 감지하고 API 명세를 수정해주지 않는다. 즉, 실제 API 스팩과 Swagger 기반 명세서 사이에 스팩이 일치함을 보장하지 않는다.
  • (2) 프로덕션 코드, 즉 컨트롤러 계층에 API 명세에 관련한 코드를 장황하게 추가해줘야한다. 이 떄문에 모든 컨트롤러내의 프로덕션 코드에 가독성을 해친다.

특히 (1) 번의 치명적인 단점이 Swagger 를 선택하지 않은 결정적인 이유다. 당연하게도, API 명세는 API 스팩과 항상 일치함을 보장하여 일관성, 무결성을 보장해야한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API 자동화 툴을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 중 하나가 문서화의 실수할 여지를 줄여주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스웨거는 이 장점을 잃어버리게 만든다.

Swagger 는 아주 작은 미니 프로젝트, 단기간에 연동 및 릴리즈가 일어나야 하는 프로젝트 (해커톤 등) 에 적합하다. 다시말해, 프로젝트 규모가 커질수록 스웨거는 변동사항에 대해 개발자가 일일이 직접 체크하고 수정해줘야 하기 때문에, 우리 프로젝트에 적합하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다.

Spring Rest Docs (vs Swagger)

Spring Rest Docs 는 Swagger 의 단점을 보완한 강력한 API 자동화 툴이라고 생각한다. 어떤점에서 단점을 보완했는가?

alt text

  • (1) 작성한 테스트 코드를 기반으로 API 명세가 일어난다.
  • (2) 프로덕션 코드내의 컨트롤러 계층에 문서화를 위한 코드를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1) 이 안겨주는 장점은 매우 강력하다. API 명세가 개발자가 작성한 테스트 코드를 기반으로 일어나기 떄문이다. Junit 진영에서 작성한 테스트가 실행되고, 해당 테스트가 성공했을 때 테스트에 대한 AsciiDoc 스닛펫이 생성된다. (스닛펫이란 API 명세가 자동 생성되기 위한 일종의 리소스를 뜻한다.)

테스트 코드를 기반으로 API 명세가 생성되니, 테스트가 성공하는 올바른 프로덕션 코드에 대해서만 API 명세가 제공된다. 다시말해, 테스트가 실패하면 API 명세가 생성되지 않는다. 이 떄문에 Swagger 와 달리 항상 프로뎍션 코드와 일치하는 API 명세를 제공하게 된다.

단점을 굳이 뽑으라 함은, 아무래도 API 명세를 위한 테스트 작성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테스트 작성이 처음인 사람들에게 아무래도 Swagger 에 비해 러닝커브가 다소 높은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개발자에게 테스트는 언제나 항상 중요하지 않겠는가? 🤔

MockMvc vs RestAssured

Spring Rest Docs 를 활용하여 API 문서를 자동화하려면 테스트 코드가 필요하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시, 자바 진영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툴이 MockMvcRest Assured 이다. 우리 팀은 MockMvc 를 사용하게 됐다. 왜 우리 서비스에 MockMvc 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선택하게 됐는가?

Rest Assured

Rest Assured 는 @SpringBootTest 와 함께 동작해야한다. @SpringBootTest 는 스프링 컨테이너내에 등록된 모든 애플리케이션 빈을 로드하여 빈을 주입하기 때문에, 테스트 수행 속도가 느리다. 하지만, Mocking 이 아닌 실제 객체(Bean) 을 로드하여 테스트 수행하기 때문에 테스트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정리하자면, Rest Assured 를 활용한 방식은 @SpringBootTest 로 전 레이어 빈을 로드하기 때문에 테스트가 느리고, 비용이 많이든다.

MockMvc

반면 MockMvc 는 테스트 환경 구성에 따라 필요한 최소한의 빈만 로드할 수 있다. 이 떄문에 일반적으로 Rest Assured 를 활용한 방식보다 테스트 속도가 빠르다.

MockMvc 는 @SpringBootTest 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고, @WebMvcTest 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WebMvcTest@SpringBootTest 와 달리 프레젠테이션(컨트롤러) 계층의 객체(Bean) 들만 로드한다. 즉, 프레젠테이션 계층을 제외한 나머지 계층의 빈들은 모두 Mocking 한다. 이렇게 각 계층별로 독립적인 계층 하나만을 테스트 하는 기법을 슬라이스 테스트(Slice Test) 라고 한다.

MockMvc 를 선택한 이유 🤔

우리 하모니 팀에서 처음 Rest Docs 를 도입했을 때는 Mocking 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 객체를 테스트 해야만 믿음직한 테스트라는 굳은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SpringBootTest 로 전 레이어의 빈들을 로드하여 테스트했다.

하지만 시간이 거듭될수록 API 문서를 위한 테스트에는 MockMvc 가 적합하다는 판단이 나왔다. 즉, MockMvc@WebMvcTest 기반 슬라이스 테스트(Slice Test) 를 적용한 방식으로 마이그레이션했다. 아무래도 프레젠테이션 계층내에 API 명세 관련 테스트가 많이지다보니, 시간이 지날수록 테스트 속도가 저하되었다. @SpringBootTest 로 전 레이어 빈을 로드하는 기법은 이미 Rest Assured 기반 인수 테스트에서 진행되고 있었기 떄문에, API 명세를 위해 전 레이어를 또 다시 로드하여 테스트할 필요성이 점점 없어졌다.

AsciiDoc vs MarkDown

Spring Rest Docs 는 AsciiDoc 을 문서 번역을 위한 텍스트 프로세서로 활용한다. 쉽게말해, Asciidoc 이란 .adoc 파일을 html 등의 형식으로 변환해주는 툴이다. 마크다운 형식의 문서는 이미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서화 포맷이지만, AsciiDoc 에서 제공하는 include 라는 강력한 기능이 있었기에 마크다운은 사용하지 않았다.

include 기능이란 다른 asciidoc 문서를 현재 asciidoc 문서로 가져와 명세에 포함시킬 수 있는 기능이다. 즉, 이곳저곳에 흩어진 문서를 한 곳에 모아서 제공하여, 문서화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한다.

Rest Docs 기반 API 문서 자동화 환경 구축하기

백문이불여일타. 실제로 Rest Docs 를 활용하여 API 문서 자동화 환경을 구축하는 간단한 환경을 실습해보도록 한다.

build.gradle 의존성 추가 및 설정

Rest Docs 도입을 위해 gradle 내에 설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법을 학습해보도록 한다.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2'
	id 'org.asciidoctor.jvm.convert' version '3.3.2' // (1)
}

configurations {
	asciidoctorExtensions // (2)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ext { 
	snippetsDir = file('build/generated-snippets') // (3)
}

dependencies {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asciidoctorExtensions 'org.springframework.restdocs:spring-restdocs-asciidoctor' // (4)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restdocs:spring-restdocs-mockmvc' // (5)
}

test {
	outputs.dir snippetsDir // (6)
}


asciidoctor { // (7)
	configurations 'asciidoctorExtensions' // (8)
	inputs.dir snippetsDir // (9)
	dependsOn test // (10)
	sources {
		include("**/index.adoc")
	}
	baseDirFollowsSourceFile()
}

tasks.named('build') {
	dependsOn asciidoctor
}
  • (1) asciidoctor 를 위한 플러그인을 적용한다.
  • (2) asciidoctor 를 확장하는 asciidoctorExtensions 에 대한 종속성 구성을 선언한다.
  • (3) 생성되는 스닛펫들이 생성되는 경로를 설정한다. 이 실습의 경우 명시한바와 같이 /build/generated-snippets 에 스니펫이 생성될 것이다.
  • (4) asciidoctorExtensions 에 Rest Docs 및 AsciiDoctor 에 대한 의존성을 추가한다. 이 의존성 주입을 통해 /build/generated-snippets 에 있는 .adoc 파일을 읽어들여 .html 파일을 만들어낼 수 있다.
  • (5) MockMvc 를 사용하기 위한 의존성을 추가한다.
  • (6) 생성될 스닛펫들이 snippetsDir 경로에 생성되도록 test 테스크에 대한 상세 설정을 부여한다.
  • (7) asciidoctor 테스크에 대한 세부 설정을 진행한다.
  • (8) Asciidoctor 확장에 대한 설정을 한다.
  • (9) 로드해올 스닛펫 경로를 snippetsDir 로 설정한다.
  • (10) test 테스트가 수행된 후, asciidoctor 테스크가 수행되도록 설정한다. 즉, 테스트가 수행되고 난 뒤 asciidoctor 기반 문서화가 진행된다.
  • (11) build 테스크가 asciidoctor 테스크에 의존하도록 설정한다. ./gradlew clean build 명령 실행시 ascciidoctor 테스크가 수행된 뒤 build 가 수행됨으로, Rest Docs 명세서가 최신화됨을 보장한다.

RestDocs, MockMvc 를 활용한 테스트 코드 작성

이어서 RestDocs, MockMvc 를 활용한 프레젠테이션 레이어내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AutoConfigureRestDocs // (1)
@WebMvcTest({  // (2)
        MemberController.class,
})
@ActiveProfiles("test") // (3)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Test {

    @Autowired // (4)
    private MockMvc mockvc;

    @MockBean // (5)
    private MemberService memberService;

    @DisplayName("사용자 본인의 회원 정보를 조회하고 상태코드 200을 리턴한다.")
    @Test
    void 본인의_회원_정보를_조회하고_상태코드_200을_리턴한다() throws Exception {
        // given
        given(jwtTokenProvider.getMemberId(anyString())).willReturn(1L);
        given(memberService.findById(anyLong())).willReturn(하온_응답());

        // when, then
        mockMvc.perform(get("/api/member/me") // (6)
                        .header("Authorization", "Bearer aaaaaa.bbbbbb.cccccc")
                        .accept(MediaType.APPLICATION_JSON)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
                .andDo(print())
                .andDo(document("member/me/success", // (7)
                        preprocessRequest(prettyPrint()),
                        preprocessResponse(prettyPrint()),
                        requestHeaders(
                                headerWithName("Authorization").description("엑세스 토큰")
                        ),
                        responseFields(
                                fieldWithPath("id").description("고유 id 값"),
                                fieldWithPath("profileImageUrl").description("프로필 이미지 경로"),
                                fieldWithPath("nickname").description("성별. 형식: MEN 또는 WOMEN"),
                                fieldWithPath("birthday").description("생년월일. 형식:yyyy-MM-dd"),
                                fieldWithPath("genderType").description("프로필 이미지 경로.")
                        )
                ))
                .andExpect(status().isOk());
    }
}
  • (1) Rest Docs 를 위한 어노테이션을 추가하여, 스닛펫이 생성되도록 한다.
  • (2) @WebMvcTest 를 통해 슬라이스 테스트를 진행한다. API 문서화를 위한 최소한의 빈만 로드하는 것으로, 위 실습의 경우 Member 컨트롤러에 대한 객체만을 로드했다.
  • (3) 테스트 환경내에서 프로파일을 활성화하기 위한 설정을 진행한다.
  • (4) MockMvc 오브젝트를 활용하기 위한 의존성을 @Autowired 로 주입받는다.
  • (5) MemberController 가 의존하고 있는 Bean 객체인 MemberService 를 Mocking 한다.
  • (6) mockMvc 로 API 를 호출한다.
  • (7) 명세할 API 에 대한 상세 설정을 명시한다. 이때 preprocessRequest, preprocessResponse 를 활용하여 JSON 포맷을 더 깔끔하게 포맷팅하여 문서를 생성해준다.

adoc 스닛펫 생성

앞서 작성한 테스트를 실행하고 성공했다면, build -> generated-snippets 내에 스닛펫이 생성되었을 것이다.

alt text

adoc 스닛펫을 API 명세로 표현

생성된 adoc 스닛펫들은 아직 한 눈에 파악하기 힘들다. 이곳저곳에 스닛펫들이 흩어져있을 뿐더러, .adoc 형식은 우리들에게 익숙하지 않아 명세를 읽기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 스닛펫들을 한 곳에 모아두고, 그를 우리에게 익숙한 .html 형식으로 예쁘게 표현해보자.

우선 아래와 같이 include 를 통해 앞서 생성된 adoc 스닛펫을 문서에 끌어모을 수 있다. 이를위해, src -> docs -> asciidoc 내에 폴더를 생성하고, member.adoc 파일을 하나 생성한 뒤 아래처럼 asciidoc 문서를 작성해주도록 하자.

== ⛳️ Member (회원) 마이페이지 + Header 조회
:doctype: book
:icons: font
:source-highlighter: highlightjs
:toc: left
:toclevels: 2

=== 회원 정보 조회(마이페이지) API

==== HTTP Request

include::{snippets}/member/me/http-request.adoc[]

===== Request Header (Authorization)

include::{snippets}/member/me/request-headers.adoc[]

==== HTTP Response

include::{snippets}/member/me/http-response.adoc[]

===== Response Body

include::{snippets}/member/me/response-fields.adoc[]

build 수행 및 html 문서 확인

asciidoctor 테스크를 실행하여 html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문서는 src -> docs -> asciidoc 경로에 생성한 .adoc 파일을 기반으로 생성된다. 앞서 build.gradle 설정시 build 테스크가 asciidoctor 테스크에 의존하도록 설정했으므로, 아래와 같이 빌드 실행시 asciidoctor 테스크가 수행되어 html 명세서 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 ./gradlew clean build

이후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http://localhost:8080/docs/index.html 로 접속하면 HTML 파일이 정상적으로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lt text

Haon
꾸준히, 배움에 대한 생각을 글로 정제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gatsby-starter-haonkakaot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