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의 독립적인 계층화 아키텍처 (Layered Architecture)

Posted by , July 13, 2024
Spring디자인패턴

계층형 아키텍처 (Layered Architecture)

계층형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개발 진영에서 널리 사용되는 아키텍처이다. 필자는 스프링부트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중에 있지만, 단순 프레임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진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아키텍처 패턴이라 생각한다.

구분되는 계층 숫자 갯수에 따라 N 계층 아키텍처 (N-tier Architecture) 이라고 한다. 각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계층의 변경이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않게 설계할 수 있다.

N-Tier Layered Architecture

필자가 계층형 아키텍처를 학습하며 가장 혼란스러웠던 점은, 각 계층을 정확히 명시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즉, 계층형 아키텍처의 구성은 딱 1가지로 정의되어 있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크기, 복잡도, 요구사항에 따라 자율적으로 구성하면 된다는 점이다. 또한 계층형 아키텍처는 정확히 어떤 계층으로 구성했는지보단, 계층을 분리하여 각 계층 사이의 의존성을 줄임으로써 외부 변화로부터 비즈니스 로직의 변화를 박고, 애플리케이션의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설계된 기법임이 더 중요하다.

4-Tier Layered Architecture

그럼에도 필자는 가장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계층 아키텍처에 대해 학습하도록 한다. 전형적인 구성 방법을 학습하여, 이 학습이 향후 아키텍처 구성에 도움이 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해본다. 각 계층별 특징에 대해 학습해보자.

alt text

내가 학습해볼 계층형 아키텍처는 Presentation Layer, Application Layer, Domain Layer, Infrastructure Layer 총 4가지로 분류된다. 각 계층에 대해 학습해보자.

Presentation Layer

서비스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것이 주 관심사인 계층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를 담당하며, 사용자의 (1) 입력값을 검증하고, (2) 비즈니스 로직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알 필요가 없도록 개발해야한다. 대표적인 구성요소로는 View 와 Controller 가 있다. 즉, Presentation Layer 에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지 않아야하며, 단순히 UI 를 표시하는 역할만을 수행해야힌다.

Application Layer

Presentation Layer 와 Domain Layer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것이 주 관심사인 계층이다. 그저 Persistence Layer 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Presentation Layer 로 전달하는 역할이다. 이 계층으로 구성되는 대표적인 구성요소로 Service 가 해당한다.

이 계층에선 데이터베이스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아야하며, Domain Layer 의 엔티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일만을 수행야한다.

종종 내가 현재 학습중인 현재 계층 아키텍처가 아니라, 프레젠테이션 계층, 비즈니스 계층, 데이터 자장소 계층 3가지 계층으로 구분하는 계층 아키텍처 패턴도 존재하는데, 이 패턴에선 Application Layer 비즈니스 로직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Domain Layer

비즈니르 로직을 처리하는 핵심 계층으로, 시스템의 핵심 로직이 담겨있다. 주요 역할로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 엔티티간의 관계(Relationship) 처리, 비즈니스 로직 수행등을 수행한다. 또한 Domain Layer 에선 Infrastrcture Layer 계층을 직접 참조해선 안되며, 이 계층은 순수한 비즈니스 로직만을 수행해야한다.

Entity 는 Domain Layer 에 속하는것인가?

이전에 학습을 하며 항상 혼동되었던 부분은 JPA 로 설계한 ORM 기반 Entity 가 Domain Layer 로 볼 수 있는가였는데, 내가 현재까지 이해한바로는 이 아키텍처에선 Domain Layer 에 속하는것으로 바라보는 것이 올바르다. 이전에 DAO 와 Repository 패턴, 차이점은 무엇인가 🤷 에서 다루었듯이 Repository 는 DAO 와 달리 도메인 객체의 상태를 관리 및 저장하는 개념에 가깝다고 했었는데, 이때 도메인 객체를 바로 엔티티의 개념으로 충분히 바라볼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충분히 엔티티는 도메인 객체의 개념이 될 수 있다.

또한 Repository 는 객체의 정보를 가진 저장소에 대한 관리 에 대한 책임을 위임받은 인터페이스이다. Spring Data JPA 로 구현한 Repository 는 Domain 객체인 엔티티에 접근하는 메소드를 제공하는 방식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ORM 기반의 엔티티와 레포지토리 모두 Domain Layer 에 배치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아무것도 몰랐을 땐 엔티티와 Repository 는 Persistence Layer 에 속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했는데, 큰 오산이었다 🥲

Infrastructure Layer

시스템의 하부 기술적인 부분을 담당하며,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등과 관련한 로직을 수행한다. 주요 역할은 시스템의 기술적인 문제 해결, 그리고 데이터의 영속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Spring JDBC, DAO, @Repository 어노테이션이 명시된 특정 레포지토리등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영속성을 구현할 수 있다. 반면 Spring Messaging 을 사용하여 외부 메세징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이 계층에선 도메인 계층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자칫 데이터베이스 중심적인 설계방식은 유지보수, 확장성에 용이한 코드를 만들지 못하게 하므로,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구성은 자유롭게, 단 반방향으로 구성할 것

alt text

계층형 아키텍처에서 각각의 분할된 수평 계층은 수직적으로 배치된다. 이런 구조에서 특정 레이어는 바로 하위 레이어에만 연결된다. 즉, 계층형 아키텍처에서는 계층간의 의존성이 최소화되어야 하므로, 각 계층은 단방향으로 상위 계층의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해야 한다.

각 계층은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격리되어 있어야한다. 각 계층은 다른 계층의 내부 동작을 모르도록 설계해야한다. 각 계층은 캡슐화되어있고, 단일 책임을 가져야한다. 따라서 따라서 특정 레이어는 다른 레이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참고

Haon
꾸준히, 배움에 대한 생각을 글로 정제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gatsby-starter-haonkakaot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