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블릿 컨테이너의 프론트 컨트롤러 등장 배경, 공통 요청 처리방식

Posted by , January 13, 2024
서블릿톰켓
Series ofHTTP 웹서버 Spring MVC 프레임워크 구현하기

서블릿 컨테이너

프론트 컨트롤러를 이해하기에 앞서, 서블릿 컨테이너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기존 90년대 전통적인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존재했을 당시, 단순히 서블릿 컨테이너(ex. 톰캣) 내부에 서블릿들을 여러개 띄워놓기만 했었다. 특정 서블릿에 대해 URL 매핑 정보를 기입하면 해당 URL 로 들어온 요청을 그 서블릿이 처리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는 방식이었다.

이런 방식만으로 불편함을 느껴 등장한 것이 스프링 컨테이너다. 서블릿 컨테이너 뒤에 똑같이 컴포넌트(Bean) 을 보유한 형태를 취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온 요청을 서블릿 컨테이너의 특정 컴포넌트(서블릿)이 받고, 그 요청을 스프링 컨테이너의 특정 빈에게 넘겨주는 방식이다.

Containerless

Servlet Containerless 웹 아키텍처란, 서블릿 컨테이너가 없는 아키텍처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서블릿 컨테이너를 필요로 하되, 이를 관리하고 신경쓰기 위해 개발자가 할애햐하는 불편함 및 수고를 제거하는 것이 Containerless 이다.

즉, 현재 스프링부트는 Containerless 가 적용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 서블릿 컨테이너가 실존하고 동작하지만, 이 서블릿 컨테이너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등의 과정을 생략하고 곧 바로 스프링부트를 통해 서버를 띄울 수 있는 구조다.** 개발자는 서블릿 컨테이너에 대한 지식 없이도 Bean 컴포넌트에 대한 등록 방법만을 알고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띄울 수 있다.


서블릿 컨테이너 띄우기

서블릿 컨테이너로 톰캣을 활용하곘다. 스프링부트의 도움없이 순수히 톰캣을 통해 컨테이너를 띄우겠다는 것이다.

우선 톰켓은 자바로 만들어진 웹서버 프로그램이다. 자바의 라이브러리 차원에서 내장형 톰캣을 제공해주는데, Tomcat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등의 클래스를 활용하여 내장형 톰캣 객체를 생성 및 활용 가능하다. 스프링부트를 처음에 프로젝트를 만들면 이미 내장형 톰캣이 우리 라이브러리에 들어와있고, 지금껏 이를 우리는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Mapping

서블릿 컨테이너가 웹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여러개의 서블릿중에 어떤 서블릿에게 이 요청을 맡기면 될까를 결정하는데, 이 결정하는 작업을 매핑이라고 한다.

매핑된 서블릿은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후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면 컨테이너가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해준다. 이를 구현한 간단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이 전체 코드를 구간별로 나누어서 상세히 알아보자.

public class Helloboot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serverFactory = new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WebServer webServer = serverFactory.getWebServer(servletContext -> {
			servletContext.addServlet("hello", new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tring name = req.getParameter("name");

					resp.setStatus(HttpStatus.OK.value());
					resp.setHeader(HttpHeaders.CONTENT_TYPE, MediaType.TEXT_PLAIN_VALUE);
					resp.getWriter().println("Hello " + name);
				}
			}).addMapping("/hello");
		});
        webServer.start();
}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우선 톰캣 팩토리 클래스다.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를 활용하여 Tomcat 이라는 내장형 톰캣을 생성해줄 수 있다. 쉽게말해, 이 클래스는 스프링부트의 내장형 톰캣을 쉽게 생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우미 클래스다.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serverFactory = new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WebServer

다음은 WebSerber 이다. 이는 톰캣외에 Jetty 와 같은 여러 서블릿 컨테이너를 추상화 해놓은 것이다. 즉, WebServer 란 인터페이스로써 웹서버 타입을 추상화 해놓은 것으로, Tomac 과 Jetty 등의 다양한 웹서버 클래스 구현체를 수용할 수 있다.

WebServer webServer = serverFactory.getWebServer();

ServletContext

WebServer 내부에는 파라미터로 ServletContextInitalizer 타입의 구현 객체를 할당하면 된다. 이 생성된 객체를 통해 내부에 서블릿을 하나 생성해 볼 것이며, 해당 서블릿에 대해 매핑하는 과정도 거쳐볼 것이다.

ServletContextInitalizer 는 인터페이스로, 인터페이스이기 떄문에 이를 구현한 클래스를 오브젝트로 할당해도 좋다. 하지만 이 서블릿을 어디선가 또 여러번 이용할 것은 아니므로 익명 클래스로 간단히 객체를 생성해준다.

WebServer webServer = serverFactory.getWebServer(servletContext -> {
	servletContext.addServlet("hello", new HttpServlet() { // 파라미터1 : 서블릿 이름 / 파라미터2 : 서블릿 정보 or 서블릿 타입의 오브젝트 => HttpServlet : 인터페이스 타입인 Servlet 의 구현체

서블릿을 생성하는 것은 servletContext.addServlet() 을 통해 생성한다. 이 메소드는 첫번째 파라미터로 생성할 서블릿의 이름, 두번쨰 파라미터로 HttpServlet 객체를 할당받는다. HttpServlet 란 인터페이스 타입의 Servlet 의 구현체다. 즉, 우리는 Servle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로 HttpServlet 타입의 객체를 생성했고, 이 객체에서 Servlet 의 여러 메소드들 중에 service 라는 메소드를 오버라이딩 할 것이다.

Serivce 오버라이딩

Servlet 인터페이스의 service() 를 오버라이딩 했다. 이 안에서 요청과 응답을 어떻게 수용하고 처리할 것인지를 정의해주면 된다.이는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인자를 통해 가능하다.

HttpServletRequest 란 요청을 가져오는 오브젝트, HttpServletResponse 란 응답을 만들어내는 오브젝트다. setStatus() 로 200 코드를 리턴해줌을 지정하고, setHeader() 로 HTTP 응답 헤더의 Content-Type 이라는 Key 값에 대한 Value 로 text/plain 을 지정해줬다. 응답 헤더의 "Content-Type: text-plain" 을 지정해주면 평범한 문자열을 리턴함을 의미하게 된다.

getWriter() 를 통해 응답의 Body 부분을 구상할 수 있다. 이 안에는 "Hello + ~" 가 바디에 실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addMapping() 을 통해 현재 생성한 서블릿이 어떤 URL 에 매핑될 것인지를 지정해줬다.

WebServer webServer = serverFactory.getWebServer(servletContext -> {
	servletContext.addServlet("hello", new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tring name = req.getParameter("name");

		resp.setStatus(HttpStatus.OK.value());
		resp.setHeader(HttpHeaders.CONTENT_TYPE, MediaType.TEXT_PLAIN_VALUE); // 헤더의 이름(name) 과 값(value) 를 할당. 평범한 문자열을 리턴
		resp.getWriter().println("Hello " + name);
	}
}).addMapping("/hello");

톰캣 구동

웹서버의 start() 를 호출하면 서블릿 컨테이너를 시작(구동) 할 수 있다.

webServer.start();

프론트 컨트롤러(Front Controller)

다음으로 이번의 핵심인 프론트 컨트롤러를 구현해 볼 것이다. 프론트 컨트롤러가 무엇인지 알기전에, 기존 서블릿 처리방식에 대해 다시 되짚어보겠다.

중복되는 서블릿 코드

기존 서블릿은 각 요청마다 직접 다 하나씩 매핑해줘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가령 앞서 살펴봤던 "/hello" 는 이를 담당하는 서블릿을 따로 만들어서 처리를 했다.*즉, 각 서블릿들에 대해 다른 URL 을 각각 매핑하는 방식으로 단순하게 구성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중복되는 코드" 로 부터 단점을 보이게 된다. 생성한 여러 서블릿에서 필요로 하는 공통적인 작업이 각 서블릿 코드안에 중복되서 등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적인 작업" 이란, 인증이나 보안, 다국어처리 등과 같이 모든 웹 요청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리턴해줘야 하는 작업 내용일 것이다.

프론트 컨트롤러 도입

중복되는 공통 작업 코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것이 프론트 컨트롤러다. 프론트 컨트롤러란, 모든 서블릿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작업 코드를 중앙화시키는 것으로, 중앙화된 가장 앞단에 (프론트 컨트롤러에) 배치하고 이 서블릿이 공통적인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프론트 컨트롤러 구현

기존 코드를 응용하여 프론트 컨트롤러를 구현해보자. 전체 코드는 아래와 같다.

public class Helloboot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serverFactory = new 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HelloController helloController = new HelloController();

		WebServer webServer = serverFactory.getWebServer(servletContext -> {
			servletContext.addServlet("hello", new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인증, 보안, 다국어등의 공통 처리 코드 부분 (생략함)
					if(req.getRequestURI().equals("/hello")) {
						String name = req.getParameter("name");

						String ret = helloController.hello(name);

						resp.setStatus(HttpStatus.OK.value());
						resp.setHeader(HttpHeaders.CONTENT_TYPE, MediaType.TEXT_PLAIN_VALUE);
						resp.getWriter().println(ret);
					}
					else if(req.getRequestURI().equals("/user")) {
						resp.setStatus(HttpStatus.NOT_FOUND.value());
					}
					else {
						resp.setStatus(HttpStatus.NOT_FOUND.value());
					}
				}
			}).addMapping("/*");
		});

		/
		webServer.start();
	}
}

HelloController 생성

우선 HelloController 라는 컨트롤러를 생성해줬다. 이 컨트롤러는 특정 서블릿으로 들어온 요청에 대한 복집한 비즈니스 로직을 서블릿 코드 내에서 구현하는 대신에, 이 컨트롤러가 대신하여 처리해준다. 즉,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서블릿이 아닌 HelloController 에 분리 시켜놓은 것이다. 복잡한 로직이 서블릿 코드 내에 모두 담기면 코드가 난잡하고 가독성이 저하됨을 감안한 것이다.

HelloController helloController = new HelloController();

공통 처리 코드

여기서는 생략했지만, 인증 보안 다국어지원 등의 여러 서블릿들에 대한 공통 처리 코드를 구현한다. 그 후 매핑 URL 에 알맞는 특정 서블릿을 호출하는 방식이다.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인증, 보안, 다국어등의 공통 처리 코드 부분 (생략함)
    f(req.getRequestURI().equals("/hello")) {
    	// ...

/hello 매핑

"/hello" 라는 URL 에 매핑된 서블릿에 대해 처리하는 코드다. 요청으로 전달받은 파라미터 name 을 helloController 에게 넘겨준다. 그러면 helloController 는 복잡한 로직을 수행 후 결과값을 리턴하여 ret 변수에 넘겨줄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복잡한 로직을 HelloController 가 처리하도록 위임한 것이다.

if(req.getRequestURI().equals("/hello")) {
	String name = req.getParameter("name");

	String ret = helloController.hello(name);

	resp.setStatus(HttpStatus.OK.value());
	resp.setHeader(HttpHeaders.CONTENT_TYPE, MediaType.TEXT_PLAIN_VALUE);
	resp.getWriter().println(ret);
}

NOT FOUND 처리

"/hello", "/user" 와 매핑되는 것이 없다면 NOT FOUND 를 리턴해준다.

else {
	resp.setStatus(HttpStatus.NOT_FOUND.value());
}

중앙화 처리

마지막으로 중앙화된 처리를 위해 모든 요청을 다 받아야한다. 따라서 매핑시 이렇게 별표를 활용하여, 슬래시 "/" 밑으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이 서블릿이 다 처리하겠다 라며 서블릿 컨테이너가 등록하는 것이다.

}).addMapping("/*");

마치며

다음엔 스프링부트를 활용하여 DI, 스프링 컨테이너에 대해 더욱이 깊게 다루어보겠다.


더 학습해볼 키워드

  • DispatcherServlet
  • Jetty
  • PropertySourcesPlaceholderConfigurer
Haon
꾸준히, 배움에 대한 생각을 글로 정제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gatsby-starter-haonkakaot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