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uth 소셜 로그인의 개념, 동작방식

Posted by , January 15, 2023
HTTPOAuth소셜 로그인

잘못된 접근방식 : 서비스에게 우리 소셜 계정정보를 맡겨볼까?

보통 서비스에서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아웃등을 JWT 를 사용해서 구현합니다. 그런데 저희가 편리하게 사용중인 소셜로그인(카카오, 페이스북, 구글) 은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요?

이 기능은 내가 사용하고싶은 서비스의 로그인을 중개해주는 카카오, 구글과 같은 소셜이 관여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서비스가 사용자를 대신해 페이스북에 댓글을 달거나, 유저 목록을 가져오는등의 기능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즉, 페이스북, 구글등의 소셜 계정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제공받고 저희의 서비스에서 대신 댓글을 달아주거나, 소셜 팔로잉 정보를 조회해주는등의 기능을 개발할 수 있을것입니다.

그러나 내 소셜 아이디 계정을 여러 서비스에서 돌려쓴다고요? 만약 해당 서비스가 해킹당해서 내 소셜 계정정보가 모두 유출되면 어떻게할까요? 이는 서비스 개발자, 사용자 모두에게 큰 부담인 방식일겁니다. 즉, 서비스에서 유저의 소셜 계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방식은 개발자와 유저 양측에게 큰 부담입니다.

만일 해킹 당한다면 해커는 해당 소셜 계정으로 페이스북, 구글등 모든 소셜에 접근하여 가능한 모든 악의적인 행위를 할수 있습니다. 또한 페이스북, 구글 입장에서도 본인들의 계정 정보가 모두 털리는 방식이라면 큰 불안감만 남을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OAuth 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서비스와 로그인을 중개해주는 페이스북, 구글등의 소셜간의 서비스를 안전하게 상호작용하며 사용 가능합니다.


OAuth가 그래서 뭘까?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타 소셜 정보에 접근하기위해 권한을 타 소셜로 부터 위임받는 것입니다.

구글, 페이스북, 카카오와 같은 다양한 소셜 플랫폼에 접근하도록 제 3자 클라이언트(우리의 서비스) 가 접근 권한을 위임받을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타 플랫폼은 어떤 방식으로 사용자 소셜정보를 제공해주는가?

이때 페이스북, 구글등의 소셜이 서비스에게 "내 아이디와 비밀번호 계정정보를 그대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accessToken 의 형태로 발급해줍니다. 그대로 발급하면 당연히 보안상의 큰 문제가 발생하겠죠?

본격적인 내용을 살펴보기전에, 핵심적인 내용을 먼저 요약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타 소셜 플랫폼(ex.구글)은 제 3자 클라이언트(서비스)에게 쌩판 동일한 아이디, 비밀번호를 제공해주지 않습니다.
  • 대신 서비스는 AccessToken을 발급받고 타 소셜 플랫폼의 일부 기능을 사용 가능해집니다.
  • 타 소셜은 플랫폼은 모든 기능을 제공해주지는 않습니다. 그 중 서비스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필요한 일부기능만을 부분적으로 접근 허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 이해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지금부터 상세하게 설명드릴 예정이니까요!


OAuth 와 관련한 역할 및 용어

본격적으로 소셜 로그인의 메커니즘을 살퍄보기전에, 우선 아래 용어들을 이해하셔야 설명이 가능해집니다.

Resource Owner

내 서비스를 사용할 서비스의 사용자입니다. 이 서비스 사용자들은 카카오, 구글등의 소셜 플랫폼에서의 리소스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입니다.

Resource Server

리소스 제공자(페이스북, 구글 등) 으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서버를 의미합니다.

Authorization Server

Resource Owner를 인증하고, 내 서비스(클라이언트)에게 토큰을 발급해주는 서버입니다.

Client(= 내 서비스)

내 서비스, 즉 내가 구현할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합니다. Resource Server 의 리소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되겠죠? 저희가 개발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OAuth 프로토콜의 다양한 권한부여 방식

OAuth 프로토콜은 다양한 종류로 다양한 클라이언트 환경에 적합한 권한 부여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중 보편적이고 널리 쓰이는 한가지 방식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지만, 그래도 나머지 방식들도 간단히나마 알아보고 넘어가 보겠습니다.

1. Authorization Code Grant

Authorization Code 를 발급받고 안전하게 AccessToken 을 발급받는 방식

  • 권한부여 승인코드를 발급받고, 이를 활용해서 AccessToken을 발급받는 방식입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 아래에서 따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클라이언트(서비스)가 사용자를 대신해 특정 리소스에 접근을 요청할 때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 보통 타사의 클라이언트에게 보호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됩니다. Refresh Token의 사용이 가능한 방식입니다.

2. Implicit Grant

AccessToken 을 URL에 담아서 바로 발급받는 방식. 탍취 위험성이 큽니다!

  • 자격증명을 안전하게 저장하기 힘든 클라이언트(ex: JavaScript등의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한 브라우저)에게 최적화된 방식입니다.

  • 권한 부여 승인 코드 없이 바로 Access Token이 발급 됩니다. Access Token이 바로 전달되므로 만료기간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그토큰 탈취의 위험성을 줄여야합니다.

  • Refresh Token 사용이 불가능한 방식이며, Access Token을 획득하기 위한 절차가 간소화되기에 효율성은 높아지지만 Access Token이 URL에 담겨서 전달된다는 취약점이 있습니다.

3. Resource Owner Password Credentials Grant

  • 간단하게 username, password로 Access Token을 받는 방식입니다.

  • 자신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경우에만 사용되는 인증 방식입니다. Refresh Token의 사용도 가능합니다.


OAuth 흐름을 이해하기전에 이건 알고가자!

또 아셔야할 용어를 정리해보면 다음와 같습니다. 모든 용어를 한번에 기억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메커니즘을 이해하시다보면 자연스럽게 각 용어가 무엇을 뜻하는것인지 이해가 되실겁니다.

  • Authorization Code : AccessToken 을 발급하기 위한 임시 인증코드. 생명주기가 매우 짧다(10분이내)

  • Client ID : 클라이언트(애플리케이션)의 고유한 ID ex) goodapp-541106

  • Client Secret : 클라이언트(애플리케이션)를 위한 비밀키이며, 서비스 제공자에게 요청을 보낼 때 애플리케이션의 신원을 알려주는 값 입니다.

  • Authorized Redirect URL(리다이렉션 엔드포인트) : 서비스를 생성할 떄 등록한 Redirect URL. 즉, Authorization Server가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에서 Authorized Code를 전달해줄 경로 (Authorized redirect URl로 Authorized Code 를 전달해줘!)

  • scope : 내 서비스(클라이언트)가 부여받은 리소스 접근 권한

  • 인가 엔드포인트 :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인가 플로우를 시작할 때 사용하는 엔드포인트입니다. ex) 페이스북 로그인 페이지 URL

  • 토큰 엔드포인트 :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토큰 플로우를 시작할 때 사용하는 엔드포인트입니다.


OAuth 메커니즘 : Authorization Code Grant

이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Authorization Code Grant 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2. 로그인 요청 및 Authorizaion Code 요청

서비스 사용자가 "페이스북 로그인 하기" 버튼을 눌러서 로그인을 요청하는 경우입니다. Client(서비스)는 Authorization Code 를 요청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브라우저를 Authorization Server로 보내야합니다. ( Authorization URL을 통해 이동시키기!)

Authorization URL 요청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위 그림에도 적어놓았듯이, 클라이언트는 Authorization Server 가 제공하는 Authorization URL 에 다음 파라미터들을 쿼리스트링으로 포함해서 보내야합니다.

  • redirect_uri, client_id, response_type, scope

예시

https://google.com/authoirzation?rediect_uri=https://maestro.com/main
&client_id=1298381293123873
&response_type=code
&scope=create+read
  • 이러한 인증 URL은 백엔드에서 생성하고, 프론트엔드는 백엔드로부터 URL 을 가져오는 것이 통상적입니다.

3~4. 로그인 시도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소셜 로그인 페이지(ex. 페이스북 로그인 브라우저 화면) 로 이동되었다면, 소셜 로그인을 시도하면 됩니다.


5~6. Authorization Code 발급 + Redirect URl 로 리다이렉트

사용자가 앞서 올바른 소셜 계정을 입력하고 인증을 마쳤다면, Authorization Server 는 Authorization Code 를 발급해주고 지정한 Redirect URI 로 사용자를 리다이렉션 시켜줍니다.

이때 Redirect URI 는 백엔드가 아닌, 프론트엔드의 URI 로 리다이렉션 시켜줘야합니다.

Authorization Code 는 어떻게 발급해줄까?

=> Redirect URI에 Authorization Code 를 포함하여 사용자를 리다이렉션 시켜주는 방식입니다. 구글의 경우 Authorization Code 를 QueryString에 포함하는 방식입니다.


7~8. Authorization Code 로 AccessToken 발급후 저장하기

발급받은 Authorization Code 는 Access Token 을 발급받기위한 임시 코드입니다.

  • 클라이언트(Client) 는 Authorization Server 에 Authorization Code 를 전송하고, Access Token 을 발급받으면 됩니다.

  • 클라이언트는 발급받은 Resource Owner(사용자)의 Access Token 을 DB 에도 저장해두고, 로컬 스토리지에도 저장해두는 처리가 필요합니다.

  • 이후 Resource Server(ex.구글, 페이스북) 에서 Resource Owner(사용자)의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해서 Access Token 을 사용합니다.

Authorization Code 와 Access Token 의 교환은 어디서 이루어질까? : OAuth 엔드포인트

이들의 교환은 OAuth 토큰 엔드포인트에서 이루어집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Google Cloud Docs : OAuth 엔드포인트 이해 를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아래 예시는 토큰 엔드포인트에서 Access Token 을 발급받기 위한 HTTP 요청의 예시입니다.

  • 지정된 프론트앤드 URI 로 리다이렉트가 되었다면, 함께 전달된 Authorization Code 를 백엔드 API를 통해 백엔드로 전달해야합니다. Authrorization Code 를 전달받은 백엔드는 Authorization Code, Client ID, CLient Secret 등으로 Authorization Code 로 부터 Access Token 을 발급받으면 됩니다.

  • 이때 grant_type은 항상 authorization_code 로 설정되어 있어야합니다. 또 code 에는 발급받은 Authorization Code 를 할당하시면 됩니다.

POST /auth/getSocialToken HTTP/1.1
Host:https://google.com

grant_type=authorization_code
&redirect_uri=https://maestro:com/main
&code=12123125123
&client_id=221399881
&client_secret=2131231235

9~11. 인증이 필요한 API 요청시, Access Token 을 활용해 요청하기

AccessToken 을 발급받은 Resource Owner 는 이제 로그인에 성공한 것입니다.

앞으로 클라이언트는 저장해둔 Resource Owner 의 Access Token 을 활용해 Resource Server 에 필요한 자원을 요청하면 됩니다. 그리고 Resource Owner 에게 서버스를 제공해주면 되겠죠?


Authorization Code 을 왜 써야할까? 필요성에 대해..

한줄요약 : URL에 직접 Access Token 을 전송받는 방식은 위험하니, 대신에 임시코드(Authorization Code) 를 발급받고 추후에 안전하게 발급받자!

앞선 Authorization Code Grant 방식을 보며 느낀점은, 왜 Authorization Code 를 굳이 써야할까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냥 바로Access Token 을 발급해줘도 되지 않을까요?

앞선 과정(5~6번)을 잘 떠올려봅시다. Redirect URI 를 통해서만 Authorization Code 를 발급받을 수 있다고했죠? 그런데 Access Token 을 발급받을때도 마찬가지로, Redriect URI 를 통해서만 URL 안에 데이터를 실어서 전달받는 방법밖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민감한 정보는 URL에 실려서 오면 정말 위험하겠죠? 따라서 Authorization Code 를 통해 우선 덜 민감한 정보를 URL로 발급받고, 추후 안전한 방법으로 Access Token 을 발급받는 것입니다.


참고

auth0 docuement 위키피디아 OAuth [OAuth2.0] 애플리케이션 등록하기 by 페이스북 https://blog.naver.com/mds_datasecurity/222182943542 https://benohead.com/ 0Auth - 구글 소셜로그인 기능 구현 Grace's Tech Blog : Authentication - OAuth2.0

.

Haon
꾸준히, 배움에 대한 생각을 글로 정제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gatsby-starter-haonkakaot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