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규약 정리

Posted by , November 01, 2024
네트워크OSI

네트워크를 다시금 공부하면서 장기 기억화를 위해 글을 작성한다. OSI 의 각 계층에 대해선 향후 포스트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할 것이며, 현 포스트에선 네트워크의 전반 흐름에 대해 오버뷰로 간단히만 다루도록 한다.


랜(LAN) 과 웬(WAN)

네트워크를 이해하려면 통신 범위의 단위인 LAN 과 WAN 에 대해 선수로 알아야한다. 랜(LAN, Local Area NetWork) 란 좁은 범위내에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를 뜻하며, 웬(WAN, Wide Area NetWork) 이란 2개 이상의 LAN 을 연결한 광범위의 네트워크를 뜻한다. 또한 LAN 은 WAN 에 비해 비교적 근거리 통신망 형태로 구축되므로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다.

LAN

특히 LAN 의 구성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 필요가 있다. 랜의 구성 방법, 즉 네트워크 접속 형태는 다음과 같이 3가지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 (3가지 이상의 다양한 방식으로 LAN 을 구성 가능하지만, 이 정도만 알아도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 스타형 (star) : 하나의 허브(Hub) 에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방식
  • 링형 (ring) : 개별 컴퓨터가 서로 원(circle) 형태로 연결되는 방식
  • 버스형 (bus) : 하나의 긴 케이블에 컴퓨터를 포함한 모든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방식

한편 WAN 은 LAN 과 달리 광범위한 영역을 커버해야 하기 때문에 LAN 과 같은 별도의 네트워크 접속 형태가 없다. 이미 LAN 에서 접속 형태를 정의헀으니, 또 다시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망을 구축시 LAN 사이에 통신이 잘 이루어지도록 연결만 해주면 된다.


네트워크 기본 구성장치

컴퓨터와 컴퓨터간에 통신하기 위해선 다양한 접속 장치가 필요하다. 접속 장치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향후 포스트에서 자세히 다룰것이므로, 여기선 간단히 장치의 종류만 언급하겠다.

컴퓨터 A, 컴퓨터 B 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 둘은 서로 통신하기 위해 허브, 스위치, 라우터등의 네트워크 장치가 필요하다. 가령 이 예시의 경우 컴퓨터 A 가 B 에 대해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선 아래와 같은 플로우로 통신하게 된다.

컴퓨터 A -> 허브1 -> 스위치A -> 라우터 -> 스위치B -> 허브2 -> 컴퓨터B

반대로 컴퓨터 B 에서 A 방향으로 통신하길 원한다면 위 플로우와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각 장치에 대한 기능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허브: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장치
  • 스위치: 대역폭을 확대해주는 장치
  • 라우터: 컴퓨터 B를 찾아가기 위한 길을 제시하는 장치
  • 브리지: 2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데이터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달하는 역할

이때 브리지는 OSI 7계층에서 각 상.하위 계층간에 데이터를 전갈할 때 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또한 스위치를 설명할 때 대역폭 이란 키워드가 등장했는데, 대역폭이란 1초당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대역폭이 넓을 수록 해당 네트워크가 동일한 시간내에 처리할 수 있는 양은 커지는 것이다.


OSI 7계층

프로토콜(protocol) 이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를 뜻한다. 쉽게말해, 컴퓨터 세계에서 형식적으로 나누는 인사 과정을 뜻한다. 네트워크를 조금이라도 접해봤으면 알듯이, OSI 7계층TCP/IP 4계층 이 대표적인 프로토콜이다. 이들의 간단한 오버뷰에 대해 알아보자.

OSI 7계층의 등장배경, 필요성

1980년대 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통신 기술, 컴퓨터의 생산은 급격히 증가했다. 이에따라 당연하게도 컴퓨터간의 통신을 위해 각 회사마다 각기 다른 다양한 허브, 스위치, 라우터 장치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렇듯 다양한 제조사에서 만든 컴퓨터와 허브, 스위치, 라우터를 서로 연결하여 통신할 떄 각기 다른 통신방법,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OSI 프로토콜 표준 규약이 등장했다.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자신들만으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등장했다. 다양한 장치가 서로 간의 통신을 보장할 수 있는 규악이며, 각 계층별로 필요한 장치들을 정의했기 때문에 제조사들은 통신에 필요한 프로토콜을 통일할 수 있게 되었다.

OSI 7계층

OSI 7계층은 컴퓨터와 컴퓨터가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정의해둔 약속, 즉 프로토콜이다.

image

각 계층에 대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7계층(Application Layer):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소통을 정의함.
  • 6계층(Presentation Layer):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지 정의함.
  • 5계층(Session Layer): 통신을 설정, 관리, 종료함.
  • 4계층(Transport Layer): 신뢰성있는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함.
  • 3계층(Network Layer): 네트워크 장치간의 경로 선택과 데이터를 전송함.
  • 2계층(Data Link Layer): 물리적인 연결을 위해 오류없는 데이터를 전달함.
  • 1계층(Physical Layer): 전기 신호를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함.

캡슐화와 역캡술화, 헤더(Header)

송신자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캡슐화, 반대로 수신자가 데이터를 전달받을때는 역캡슐화 가 발생한다. 캡슐화는 7계층에서 1계층 방향으로, 반대로 역캡슐화는 1계층에서 7계층으로 발생하면서 각 계층을 지나칠 때 마다 헤더(Header) 라는 단위가 덧붙여진다(해제된다).

이때 각 계층에서 덧붙여지는 헤더(Header) 는 각 계층마다 다른 이름으로 부른다. 각 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 단위인 헤더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다.

  • 응용 계층부터 세션 계층까지(7~5계층): 데이터(메시지)
  • 전송 계층(4계층): 세그먼트(segment)
  • 네트워크 계층(3계층): 패킷
  •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 프레임
  • 물리 계층(1계층): 비트

다시 설명하자면 캡슐화 과정이 일어날 떄 한 단계씩 아래로 내려가면서 통신을 위한 정보인 헤더가 하나씩 붙게된다. 세그먼트 에서는 포트 번호, 패킷 에서는 송.수신자의 IP 주소, 프레임 에서는 송.수신자의 MAC 주소가 붙게 된다.

반대로 역캡술화 과정이 발생할땐 헤더 정보가 하나씩 벗겨진다. 데이터 링크 계층(프레임)에선 수신자가 MAC 주소를 획득하고, 네트워크 계층(패킷)에선 IP 주소, 전송 계층(세그먼트)에선 포트번호를 획득하게 된다.


VPN

마지막으로 VPN 에게 소개하곘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술이다.

인하대학교 학사관리 시스템을 예로 들어보겠다. 가령 인하대학교 본교(본교는 인천시 미추홀구에 위치해있음) 의 학사관리 시스템이 있을 때, 학교의 중요한 기밀 정보를 외부에서 함부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신경써야 할 것이다. 여기서 하나 가정을 더 붙여보자면, 인하대학교 본교가 아닌 제2 캠퍼스가 송도가 있다고 해보자. 이때 학사관리 시스템은 본교(미추홀구) 에 위치해있게 때문에 제2 캠퍼스(송도)에서 근무하는 교직원들에게도 특별히 외부 접근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이때 VPN 이라는 것을 이용하면 제2 캠퍼스 교직원들이 학사관리 시스템이 접속하여 중요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VPN 의 동작방식

VPN 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 (1) VPN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섩치
  • (2) VPN 서버 연결 및 인증
  • (3) 데이터 암호화
  • (4) 터널링

우선 (1) 먼저 컴퓨터에 VPN 클라리언트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한다. 인하대학교 제2 캠퍼트에서 근무하는 교직원들으 경우 자신의 노트북에 VPN 클라이언트를 설치해야 한다. 이후 (2) 설치된 VPN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VPN 서버에 연결해야 한다. 이때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사용하여 인증을 한다.

(3) VPN 연결이 설정되면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전송된다. 이는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때 누구나 볼 수 없게 만들어준다. 마지막으로 (4) VPN 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터널링 기술을 사용한다. 터닐링(Tunneling) 이란 본교와 제2 캠퍼스 간에 마치 터널이 뚫린 것처럼 네트워크 사이에 통로를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후 통신이 종료되면 VPN 터널은 종료되고 VPN 연결도 종료된다.


마치며

다음 포스트부터 본격적으로 OSI 7계층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Haon
꾸준히, 배움에 대한 생각을 글로 정제하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gatsby-starter-haonkakaotech